1. vsftpd 패키지설치
# ps -as | grep vsftpd
# yum list installed | grep vsftpd
vsftpd를 이미 설치해 놓았기때문에 위의 상태로 표시가 됩니다.
새로 설치하시야 합니다.
# yum -y install vsftpd
2. vsftpd.conf, chroot_list 수정과 생성
# vi /etc/vsftpd/vsftpd.conf
anonymous_enable=NO
chroot_list_enavle=YES
chroot_list_file=/etc/vsftpd/chroot_list
use_localtime=YES
listen=YES
listen_ipv6=NO
pam_service_name=vsftpd
userlist_enable=YES
tcp_wrappers=YES
위의 항목을 수정해주시면 됩니다.
vi /etc/vsftpd/chroot_list(허용할 계정 추가
접속을 허용할 계정을 추가해주면 됩니다. 원래는 root는 보안상 추가하지 않는게 좋은데, 테스트용이라서
root와 사용자계정을 추가해서 사용해 보세요
3. 방화벽 설정 및 selinus 해제를 하세요.
이항목을 수정하지 않으면 외부에서 접속을 시도할때 거부됩니다.
#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ftp
#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21/tcp
# firewall-cmd --reload
selinux 해제
vi /etc/selinux/config
SELINUX=enforcing 항목을 disabled로 변경해주세요
4. 재시작
# systemctl enable vsftpd
# systemctl restart vsftpd
# ps -ax |grep vsftpd
5. ftp 접속시 530 Permission denied 라고 나오면 접속거부리스트에 계정이 있는 것이니 삭제해주시면
됩니다.
# vi /etc/vsftpd/ftpusers
여기까지 요즘 직접 리눅스서버를 구축하여 문제시 고생해서 문제해결했던 사항을 하나하나 올리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컴퓨터오류해결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팅이 느려지는 현상 / 디스크 검사오류 대처방법 (0) | 2020.07.29 |
---|---|
컴퓨터 윈도우10설치시 포맷 후세팅하는 방법 (0) | 2020.04.02 |
M.2 소켓없는 구형 PC서 고성능 NVMe SSD 쓰는 법 (1) | 2019.03.06 |
부팅가능한 USB 드라이버를 쉬운방법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Rufus (0) | 2019.01.29 |
Windows 시스템이 손상되었습니다. 업데이트금지! (0) | 2019.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