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

정부, 3D프린팅 산업 적극 육성.. 2020년 세계 점유율 15% 목표

 

 

정부가 차세대 핵심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3D프린팅 산업 육성을 위해 적극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미래창조과학부는 '3D프린팅 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제5차 국가과학기술심의회에 상정해 확정했다고 23일 발표했다.

정부는 2012년 22억 달러 정도였던 3D프린팅 세계 시장 규모가 2021년 108억 달러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3D프린팅 산업을 육성해 기존 산업의 패러다임을 변화시켜 제조공정 고도화 등 제조업 혁신을 유도하고자 이 전략을 마련했다.

구체적으로 ▲수요 연계형 성장기반 조성 ▲비즈니스 활성화 지원 ▲기술경쟁력 확보 ▲법제도 개선 등 4대 전략과 11대 추진과제를 추진해 2020년까지 세계적 선도기업 5개, 독자 기술력 확보를 통한 세계시장 점유율 15% 달성하겠다는 목표도 설정했다.

우선 기존 산업현장에서 3D프린팅 기술을 시범적으로 활용하고 공정개선 등에 연결될 수 있도록 20억원을 투입, ‘3D프린팅 기술기반 제조혁신지원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내년부터 영세·중소기업 대상으로 ‘찾아가는 시제품 제작서비스’도 운영된다. 3D프린팅 장비를 탑재한 시제품 제작 차량이 직접 현장을 방문해 시제품 제작 등 3D프린팅 활용경험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일반 국민들도 3D프린팅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도록 무한상상실 및 셀프제작소 등을 통해 참여 환경을 조성하기로 했다.

이와 함게 인재육성을 위한 방안도 추진된다. 3D프린팅 관련 교육기관 지원 및 교육 커리큘럼 개발을 통해 기초·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초중고교 및 대학 내 실습용 국산장비를 보급할 방침이다.

미래부, 중소기업청 등의 창업지원프로그램과 연계해 ‘3D프린팅 전문 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스마트폰의 앱스토어와 같은 ‘3D프린팅 디자인스토어’, 시스템과 연계 지원 등을 위한 ‘3D프린팅 콘텐츠 유통 플랫폼’을 운영해 콘텐츠 분야의 시장 창출과 콘텐츠 접근성 개선, 장비 인프라 활성화를 도모한다.

선진국 대비 취약한 국내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해 올 하반기 장비, 소재, 소프트웨어 등 기술개발 로드맵을 마련하고 특히 금속세라믹 복합소재 등과 같은 소재-장비 연계형 기술개발을 추진키로 했다. 국산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과 보급도 확대한다.

정부는 이번 발전전략을 토대로 범부처 '3D프린팅 산업 발전협의회'를 구성해 계획이 차질 없이 수행될 수 있도록 이행·관리하고, 새로운 정책과제도 지속적으로 발굴키로 했다.

Copyrightⓒ 넥스젠리서치(주) 케이벤치 미디어국. www.kbench.com